Posts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 페미니즘의 목표는 권력을 남성으로부터 탈환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권력에서 폭력을 제거하고 권력의 의미를 바꾸는 데 있다. 그리고 내 생각에 페미니스트는 답이 없는 두 선택지에서 억지로 답을 고르는 게 아니라 선택지를 늘리거나 질문 자체를 바꾸는 사람이다. (5)
  • 모든 운동과 이념이 특권을 성찰하지 않는 순간 억압의 일부가 된다는 사실을 나는 그때 배웠다.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22)
  • 수치심은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지키게 해주고, 정의감은 더 나은 인간이 되도록 해준다. 둘 중 하나라도 없으면 잘못된 일을 바로잡을 수 있는 용기를 내기 어렵다. (34)
  • 왜 사람들은 피해의식이 생기는 걸 두려워할까. 우리 사회에서 '피해의식'은 '남 탓을 한다'는 말과 동의어로, 보통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하지만 이건 과대망상이나 남 탓하기라는 문제 행동을 피해자에게 뒤집어씌우는 일이다. 이런 덧씌우기는 피해자가 '건강한' 피해의식을 가지는 걸 방해한다. 피해의식victim mentality의 사전적 의미를 바탕으로 해석하면 이렇다. 첫째, 피해자는 문제의 발생 원인이 아니다. 둘째, 피해자는 문제의 발생을 막을 의무가 없다. 셋째, 피해자는 권리를 침해받은 자로서 공감받을 자격이 있다. 이렇게 피해의식을 이해하면 문제는 간단해진다. 없어져야 할 것은 피해의식이 아니라 피해자를 비난하는 문화다. (61)
  • 페미니즘보다 휴머니즘을 지향한다거나, 여성 인권이 아니라 보다 전체적인 인권에 대해 말하고 싶다는 식의 말들이 휴머니즘과 인권을 가장 탈정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페미니즘과 휴머니즘이 다르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출 필요는 없다. 가령 페미니즘이 휴머니즘을 재발명하고 있다는 말은 인간에 대한 개념 자체를 바꾸자는 급진적이고도 근본적인 주장이 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페미니즘과 여성인권운동이야말로 인간의 조건과 개념 자체를 질문하고 재구성하는 가장 혁명적인 휴머니즘이자 가장 급진적인 인권 운동이다. (91)
  • 차별금지법이 없는 상황에서 개인에게 구체적인 손해가 발생할 정도의 강제성 있는 차별금지 정책은 사실상 존재하기 어렵다. 차별을 금지하는 법조차 없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인데도, 역차별 담론은 우리의 구체적인 삶과 그 삶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 대한 이해를 불가능하게 하고 정치적 상상력을 닫아버린다. 하지만 해당 정책이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성차별은 이미 사라졌다는 단언과 함께 역차별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108)
  • 애초에 여자로 태어난 게 잘못이었나. 아니, 여자로 태어난 게 잘못이라는 생각을 하도록 만드는 사회가 잘못이었다. (110)
  • 여성의 인권은 구타당하고 강간당하고 착취당하는 최악의 상태를 전시해야 공감을 얻는다. 반면에, 남성의 인권은 잠재적인 피해 가능성과 인간으로서 명예훼손에 대한 우려만을 이야기해도 공감을 얻는다. (134)
  •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아직도 '착각'하는 것 역시 변화를 가로막는 원인이다. 가해자가 착각의 늪에 빠져 자신의 잘못을 끝내 인정하지 않으면, 가해자 가족 역시 똑같은 늪에 빠지게 된다. 가해자가 자신의 범죄를 인정하고 반성해야 가해자 가족이 사적 의리와 공적 정의가 일치하는 삶을 살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185)
  • 페미니즘은 여성도 인간이라는 급진적 믿음입니다. 그 때문에 페미니즘 없이 민주주의 없고, 민주주의는 우리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204)
  • 다시 말해 여성혐오는 개별 여성의 행동을 단죄하거나 평가하는 현상으로서 확산됐을 뿐, 일관된 이데올로기적 태도로서 추구된 것은 아니었다. 소라넷 몰카, 리벤지 포르노, 데이트폭력 등의 범죄 사실들이 하나씩 드러나고 있음에도, 여자가 자신을 무시했다는 이유로 폭행하고 살해하는 사건이 계속 일어나고 있음에도 남성이 역차별당한다는 의식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았다. 지금도 그렇다. 그러니 여성혐오와 싸우는 이들에게 정치적 올바름은 무기라기보다는 족쇄에 가깝다. 전략으로서 정치적 올바름은 이미 실패를 거듭해왔다. 사회가 전혀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정치적 올바름이 전략으로서 아무런 쓸모가 없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그것이 메갈리아의 거울이 비춘 세상이다. (227)
  • 나는 강간을 가능하게 만드는 성범죄자의 활력과 에너지, 권력이 생성되는 바로 그 지점을 제거하는 것이 '진짜' 거세의 의미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강용석에게 국회의원 자격을 박탈하여 토론대회에 나간 여대생과 아나운서에게 성희롱할 수 있게 한 에너지와 권력의 근원을 제거하는 것, 친족 성폭력의 가해자인 아버지에게 친권을 빼앗는 것, 취업 상담을 핑계로 제자에게 술을 먹이고 노래방에 데려가 강간하려는 교수를 해임시키는 것, 그런 것이 '진짜' 거세의 의미다. 여기에서 남근은 하나의 은유일 뿐이다. 그런 면에서 만약 김수철과 조두순에게 남은 특권이 오직 남근 하나라면, 우리가 거세해야 할 것은 그의 남근이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우리는 그들의 남근에 집중된 상징적이고도 사회적인 의미를 제거해야만 '진짜' 거세에 성공할 수 있다. (263)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권김현영/휴머니스트 20191028 280쪽 17,000원

정답은 없지만 페미니즘은 언제나 모순과 역설 속에서 길을 찾아냈습니다. "페미니스트는 답이 없는 두 선택지에서 억지로 답을 고르는 게 아니라 선택지를 늘리거나 질문 자체를 바꾸는 사람"이라는 말은 울림이 큽니다.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고 전진하길 바랍니다. 계속 배우겠습니다.